수업지도안(세안)



 



과  목

체 육 

단  원

건강 활동

주  제

체력관리

장  소

체육관

수업자

성재현  


2013. 4. 9.


 

목  차


I. 단원의 개관

   1. 단원 설정의 이유

2. 단원의 목표

3. 단원의 구조도

4. 단원의 지도계획

5. 지도상의 유의점

6. 단원의 평가계획


Ⅱ. 학생 실태


Ⅲ. 본시 지도안


Ⅳ. 본시학습 수행능력평가


. 수업 배치도(체육관). 










Ⅰ. 단원명 : 건강활동


1. 단원 설정의 이유


‘건강 활동’은 건강에 관한 지식을 탐구하고 이를 토대로 심신의 건강을 증진하고 관리하며,건강의 제 문제를 해결할 수 있는 합리적인 의사 결정 능력을 함양하는 데 초점을 둔다. 최근 경도 정신지체에 대한 사회적 통합화와, 체력관리의 필요성 증가에 의한 특수교육대상자의 자기체력 관리 차원 또한  증가되고, 이에따른  ‘건강 활동’에 대한 정확한 개념정립이 필요하다고 생각한다.

본 단원에서는 심신의 건강증진과,이를 해결할수 있는 합리적인 의사결정 능력 함양하는데 그 목적이 있다. 따라서 이 단원에서는 건강의 실천 내용과 방법에 따라, 체력 증진 및 관리방법을 익히는데 목적이 있다.


2. 단원의 목표


1) 이해면

가. 체력 측정 방법과, 체력에 대한 개념을 이해 할 수 있다.

나. 운동처방의 개념과 원리를 이해 할 수 있다.

다. 청소년기의 바람직한 성역활을 이해한다.

라. 일상생활에서 일어날 수 있는 안전사고를 이해 할 수 있다.




2) 기능면

가. 각 영역에 대한 체력을 측정 할 수 있다.

나. 체력 수준에 대한 평가를 할 수 있다.

다. 체력 증진 프로그램에 따라 체력을 관리 할 수 있다.

라. 성폭력,성희롱 및 성추행에 대한 예방을 인지 할 수 있다.



3) 태도면

가. 각 활동에 알맞은 옷을 입고 외출 할 수 있다.

나. 자기 주변을 깨끗이 하여 나아가 지역사회의 환경보호에 앞장 서는 사람이 될 수 있다.

다. 안전한 음식을 먹음으로써 자신의 건강을 지키는 사람이 될 수 있다.

라. 안전한 식생활 습관을 배워 여러 가지 질병을 예방 할 수 있는 사람이 될 수 있다.




3. 단원의 구조도



건강활동

건강에 관한 지식을 탐구하고 심신의 건강을 증진하며 개인 및 사회의 건강 관련 문제에 관심을 갖고 이를 해결할 수 있는 합리적인 의사결정 능력과 건강한 생활습관을 기르는 활동







건강관리


- 소리신호를 이용한 청각적 한계 극복


보건과 안전

- 보행관련 편의 시설이용.

체력 증진과 체력관리

- 준비 운동,정리 운동 등과 관련된 신체 활동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4. 단원의 지도계획

차시

제 재

학 습 내 용 

교수·학습자료 


1/5


심폐지구력 운동하기.

- 심폐기능 발달하는 운동하기.

체육복, 운동화, 고깔, 초시계, 깃발, 호루라기

2/5

심폐지구력 측정하기.

- 스텝검사와, 왕복 오래달리기 실시


체육복, 운동화, 고깔, 초시계, 깃발, 호루라기

3/5


심폐지구력 향상하기.

- 강한운동과, 약한운동을 교대로 실시

- 걷기, 달리기, 자전거 타기를 교대로 실시

체육복, 운동화, 자전거, 깃발, 

호루라기

4/5

철인3종 경기 소개.

- 자전거, 수영, 달리기를 이용한 철인3종 경기를 소개 .

PPT자료, 철인 3종 경기 인쇄물, 필기용구, 공책

5/5

심폐지구력 운동 측정 및 평가.

- 달리기 기록평가 및 자전거 기록평가.

초시계, 운동화, 체육복, 깃발, 고깔




5. 지도상의 유의점


1) 아이들이 ‘건강활동’ 이 교과에 관심을 가질 수 있도록 유도한다.

2) 옷을 갈아입을 때 사춘기의 학생이 성적 수치심을 느끼지 않도록 유의한다.

3) 불충분한 준비운동으로 인한 안전사고에 유의한다.

4) 유산소 운동을 할 때, 호홉곤란을 일으키지 않도록 충분한 준비운동을 실시한다.

5) 체육 측정 및 평가활동에서 아동의 경쟁심리를 불러 일으켜, 안전사고가 나지 않게

주의한다. 


6. 단원의 평가계획


1) 이해면

가. 체육활동에 대한 중요성을 이해 할 수 있는가?

나. 안전한 체육활동에 대한 중요성을 이해 할 수 있는가?

다. 과도한 호홉곤란 등이 발생하여, 안전사고가 날수 있음을 인지하고 있는가?

라. 체육활동을 통하여 습득한 기술의 방법을 이해 할 수 있는가?



2) 기능면

가. 각 활동시에 적절한 복장을 취할 수 있는가?

나. 체육활동시에 필요한 준비물을 잘 챙겨서 수업에 임할 수 있는가?

다. 습득한 체육활동을 기능적으로 자유롭게 구사할 수 있는가?

라. 습득한 체육활동을 자유롭게 지역사회에 적용 할 수 있는가?

마. 다른 체육활동으로 전이가 가능한가?


3) 태도면

가. 체육활동의 중요성을 인식하고, 심신단련의 중요성을 이해하는 사람이 될 수 있는가?

나. 체육활동을 통한 또래와의 상호작용을 활성화 시키고, 이를 내면화 시킬 수 있는가?








Ⅱ. 학생 실태

집단

학생명

성별

나이

장애유형

학생 특성

본시 관련 수행 수준

성재연

14

자폐범주성장애

 아스퍼거증후군을 보여 언어성지능이 높다..

 소근운동에 제한을 보인다.

 부적절한 자세를 취한다.

 언어성지능이 높아, 이해수준이 높다. 

 운동기능이 있으며, 유산소 운동이 가능하다.

전성하

14

정신지체

 ADD(과잉행동장애)를 가지고 있다.

 오후에는 신경안정제를 먹어 조용한 편이다.

 낯을 가리는 편이다.

 언어성지능이 높아, 이해수준이 높다. 

 운동기능이 있으며, 유산소 운동이 가능하다.

서경덕

14

정서 및 행동장애

 발음이 분명하지 않아 무슨 말을 하는지 이해하기가 힘들다.

 수업과 관련 없는 질문을 계속 한다.

 자전거를 타본적이 없으며, 주의집중이 어렵다.

 문제행동을 자주보이며, 수동적으로 수업에 임한다.

함지박

15

정서 및 행동장애

 정서적 불안을 호소하며, 일시적 함묵증을 보인다.

 조울증 경향이 있어, 급식을 거부하고, 자살 시도를 한적이 있다.

 자전거를 타본적이 없으며, 주의집중이 어렵다.

 문제행동을 자주보이며, 수동적으로 수업에 임한다.

신세계

16

정신지체

 먹을 것에 대한 집착이 심하고, 먹을것이 중단되면 텐트럼을 부린다..

 ‘프리더윌리 증후군‘을 지니고 있다.

 교사의 언어적·신체적 촉진으로 체육수업에 임할 수 있다.

노영규

15

중도중복장애

 전농이며, 경도 정신지체를 지니고 있다.

 의사소통과, 지능에 문제가 있어, 교육적 성취가 어렵다.

 교사의 언어적·신체적 촉진으로 체육수업에 임할 수 있다.



씨름의 기본 기능 익히기











Ⅲ. 본시 지도안



대  상

중 2- 1

수 업 자

성재현

장 소

체육관

교과 및 단계

체육 I

단 원 명

건강활동

일 시

2013. 4. 9.

학습제재

체력관리(심폐지구력)

차 시

1/5

집단 및 대상 학생

성재연, 전성하

서경덕, 함지박

신세계, 노영규

선수학습능력

 언어성지능이 높아, 이해수준이 높다. 

 운동기능이 있으며, 유산소 운동이 가능하다.

 자전거를 타본적이 없으며, 주의집중이 어렵다.

 문제행동을 자주보이며, 수동적으로 수업에 임한다.

 교사의 언어적·신체적 촉진으로 체육수업에 임할 수 있다.

본시

학습목표

- 심폐기능을 이해할 수 있다.

- 지구력의 개념을 이해 할수 있다.

- 심폐기능을 이해할 수 있다.

- 지구력의 개념을 이해 할수 있다.

- 심폐기능을 이해할 수 있다.

- 지구력의 개념을 이해 할수 있다.

단 계

(시량)

학 습

요 소

교 수 -  학 습   활 동

자료 (󰂣) 및

유의점 (󰃞)

교 사

활 동

학 생 활 동

성재연, 전성하

서경덕, 함지박

신세계, 노영규

도입


(8분)

인사

인사하기

- 반장의 구령에 따라 바른 자세로 인사하기

(󰃞)복장이 용이 한지 확인

출석확인

출석확인

-  교사의 호명에 손을 들고 대답하기

학습분위기 조성

전시학습상기하기

-  교사가 제시한 자료에 관심 갖기.

교사의 활기찬 음악과 체조로 주의환기.

 
 

- 교사와의 체조시간(함께 따라하며 수행한다.)

학습목표 제시

학습목표 제시하기

<학습목표>

심폐지구력의 운동중 스텝검사와, 왕복오래달리기를 직접 할 수 있다.



단 계

(시량)

학 습

요 소

교 수 -  학 습   활 동

자료 (󰂣) 및

유의점 (󰃞)

교 사

활 동

학 생 활 동

성재연, 전성하

서경덕, 함지박

신세계, 노영규

전개


(30분)


본시학습도입.

건강활동 설명.

 

- 7330운동법을 교사의 구두설명으로 듣는다.

(󰃞)학생에게 진지한 자세로 건강의 중요성을 상기.

학생에게 질문하기.


- 7330의 중요성에 대해서 말할 수 있다.

건강활동의 중요성을 인식한다.

(󰃞)산만해 질수 있음으로, 주의집중시킨다.

본시학습설명.

스텝검사소개.

 

- 교사의 설명을 듣는다.

(󰃞)스텝박스에서 발을 헛딛어,넘어질수 있음으로 부상에 대한 주의 기울이기.

스텝검사

시범.

 

- 한발씩 올라갔다가 내려오는 동작을 집중적으로 습득

개별

연습

- 교사의 시범으로 실시한다.

- 교사의 집중주의를 받으며 실시.

- 교사의 집중주의를 받으며 실시.



단 계

(시량)

학 습

요 소

교 수 -  학 습   활 동

자료 (󰂣) 및

유의점 (󰃞)

교 사

활 동

학 생 활 동

성재연, 전성하

서경덕, 함지박

신세계, 노영규

전개

(30분)

본시학습설명.

왕복오래달리기 소개.

 

- 교사의 설명을 듣는다.

(󰃞)충분히 몸이 풀리지 않은 상태에서 전력으로 달리게 되면,근육경련이 일어나거나,발목부상을 입을수 있음으로

충분한 준비운동필요

왕복오래달리기 시범.

 
 

- 교사가 고깔을 돌아서 오는 시범을 본다.

개별연습.

- 교사의 시범으로 실시한다.

- 교사의 집중주의를 받으며 실시.

- 교사의 집중주의를 받으며 실시.

정리 

평가

(7분)

정리하기

심폐지구력에 대한 내용 상기

- 교사의 질문에 답변 하며 반복하기.

- 바른 자세로 듣기.

(󰃞)수업시간 다친 학생이 없나 학인하고, 위생건강을 위해 손을 씻도록 지도 할 것.

차시예고

차시예고하기

- 다음 차시에 대한 설명을 집중하여 듣기

끝인사

인사하기

- 반장의 구령에 따라 바른 자세로 인사하기











IⅤ. 본시학습 수행능력평가

영역

체력 관리

평가 항목

•건강 체력 요소의 측정 방법을 이해하고, 정확하게 수행할 수 있는지를 평가한다.

실시 방법

•남녀별로 측정 방법의 차이를 고려한다.

•체력 관리 이해 및 방법에 의거 남녀별로 실시한다.

평가 방법

•건강 체력 요소의 측정 방법에 따라 정확하게 수행하는지를 평가한다.

•2개 종목 점수를 합산하여 점수를 부여한다.

배점

100

비율

%

수준

평 가 기 준(스텝검사)

평가척도

1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 지시 없이도, 혼자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2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 지시만으로, 혼자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3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,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1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 지시만으로, 혼자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2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,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3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완전히 실시 할 수 없다.

1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,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2. 스텝검사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완전히 실시 할 수 없다.

3. 스텝검사를 전혀 수행이 불가능 하다.


수준

평 가 기 준(왕복 오래달리기)

평가척도

1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 지시 없이도, 혼자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2. 왕복 오래 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 지시만으로, 혼자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3. 왕복 오래 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,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1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 지시만으로, 혼자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2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,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3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완전히 실시 할 수 없다.

1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, 실시 할 수 있다.

2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교사의 언어적, 신체적 촉구로 완전히 실시 할 수 없다.

3. 왕복 오래달리기를 전혀 수행이 불가능 하다.





. 수업 배치도(체육관)